Turkey’s Actual Influence at the 2025 Sharm el-Sheikh Gaza Peace Summit
Han Haeun (SNUAC)
The Gaza Peace Summit, held in October 2025 in Sharm el-Sheikh, Egypt, was an international conference convened to discuss the ceasefire and reconstruction of the Gaza Strip. The meeting was primarily led by the United States, Egypt, and Qatar. Türkiye participated as one of the signatory countries and reaffirmed its support for the Palestinian cause; however, its actual influence during the summit remained limited. While the United States acted as the main coordinator of military and financial assistance, Egypt served as the host and geographical mediator, and Qatar maintained direct communication channels with Hamas—thus holding real agenda-setting and decision-making power—Türkiye’s role was largely symbolic and political, functioning as a moral and diplomatic messenger of Palestinian advocacy.
Prior to the summit, media outlets reported that Türkiye had objected to Israeli Prime Minister Benjamin Netanyahu’s attendance, and Netanyahu ultimately did not participate. This indicates that Ankara’s diplomatic pressure had some effect, yet the overall negotiation agenda and drafting process were still dominated by the United States and Egypt.
Although the final declaration mentioned that Türkiye “may take part as one of the guarantor states to oversee the implementation of the ceasefire,” this role remained largely declarative. In contrast, Türkiye’s involvement in the humanitarian sphere was more tangible. Through TİKA (Turkish Cooperation and Coordination Agency) and AFAD (Disaster and Emergency Management Authority), together with Turkish NGOs, Ankara dispatched hundreds of aid trucks, medical teams, and temporary field hospitals to Gaza. Nonetheless, humanitarian engagement does not necessarily translate into political leverage or negotiation power.
Fundamentally, Türkiye’s mediation efforts face structural constraints—its relations with Israel remain strained, making Ankara’s proposals difficult for Tel Aviv to accept. Moreover, domestic challenges such as post-election economic hardship and the refugee burden limit Türkiye’s diplomatic capacity. Consequently, while Türkiye succeeded in reinforcing its image as a moral leader and advocate of Palestine within the Middle East, its actual influence on policy decisions and regional governance structures during the summit was notably limited.
샤름엘셰이크 회담에서 터키의 역할과 영향력
한하은 (아시아연구소)
2025년 10월 이집트 샤름엘셰이크(Sharm el-Sheikh)에서 열린 ‘가자 평화 정상회의(Gaza Peace Summit)’는 가자지구 휴전과 재건을 논의하기 위한 국제 회담으로, 미국·이집트·카타르가 주도했다. 터키는 서명국으로 참여하며 팔레스타인 지지 입장을 재확인했지만, 회담 내에서의 영향력은 제한적이었다. 미국은 군사·재정 지원의 최대 조정자로서 이집트는 회담 개최국이자 지리적 중개자로서 카타르는 하마스 측과의 실질적 대화 채널 보유자로서 실제 의제 설정권이나 결정권이 있었지만 터키는 팔레스타인 지지의 상징적·정치적 메신저로서 정치적 존재감만 드러냈다.
회담 전 언론은 터키가 이스라엘 총리 네타냐후의 참석에 반대하며 상당한 ‘발언권’을 행사했다고 보도했는데 실제로 네타냐후는 불참했고, 이는 터키의 외교적 압박이 일정 부분 작동했음을 보여주지만 협상 의제 설정과 문안 조정 과정에서는 미국·이집트가 주도했다.
선언문에 터키는 “휴전 이행을 보증하는 국가 중 하나로 참여할 수 있다.”라고 언급되었지만, 휴전 감시 및 보증 역할 역시 선언적 수준에 머물렀다. 다만, 인도주의 지원 분야에서는 터키의 영향력은 강하게 보여지는데 이는 TİKA(터키협력조정청)과 AFAD(재난·인도지원청)을 통해 수백 대의 지원 트럭, 의료팀, 임시 병원 지원을 터키 NGOs가 수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인도주의 차원의 영향력은 터키가 일정 부분 국제적 주목을 끌게 했을 뿐, 그것이 곧 정치적 조정력이나 협상 주도권으로 이어진 것은 아니었다. 근본적으로 터키의 중재 노력은 구조적 제약에 직면해 있다. 이스라엘과의 관계가 여전히 냉각 상태이기 때문에 앙카라의 제안을 텔아비브가 현실적 협상안으로 받아들이기 어렵고, 총선 이후의 경제난과 난민 부담 등 국내 문제 또한 터키의 외교적 역량을 제약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터키는 회담을 통해 중동 내 ‘팔레스타인 지지자이자 도덕적 리더’라는 외교 이미지를 강화했지만, 구체적 정책 결정이나 지역 거버넌스 형성을 이끌 정동의 영향력은 제한적이란 평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