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ognition of Palestine by Western States

     Saerom Ha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On 21 September 2025, four Western states (the United Kingdom, Canada, Australia, and Portugal) formally recognised Palestinian statehood in a series of coordinated announcements. The move marked the first time members of the G7 took such a step. Leaders framed the decision as both a moral obligation and a political necessity: Canada’s Prime Minister Mark Carney pledged support for Palestine’s “peaceful future,” while Australia’s Anthony Albanese described recognition as affirming Palestinians’ “legitimate and long-held aspirations.” British Prime Minister Keir Starmer stressed that recognition was essential to preserve any chance of a two-state solution, warning that at present neither Israel’s security nor Palestinian statehood was guaranteed.

The timing was deliberate. The declarations came on the eve of a special UN General Assembly summit, convened on 22 September under a French- and Saudi-led initiative to revive negotiations toward a two-state solution. President Emmanuel Macron is expected to announce France’s own recognition, describing it as a “necessity” backed by several European partners. The diplomatic effort seeks to inject momentum into peace talks after years of stagnation and escalating violence.

Israel’s leadership reacted sharply. Prime Minister Benjamin Netanyahu condemned the UK’s decision as “an absurd prize for terrorism,” vowing to resist what he called dangerous international pressure. The United States also distanced itself, dismissing the recognitions by its allies as largely “performative.”

It remains uncertain whether recognizing Palestine as a state, despite its lack of clearly defined territory and a fully functioning government, can lead to tangible change beyond rhetorical significance. Nevertheless, the support of major Western powers, particularly that of the United Kingdom, often perceived as a principal instigator of the Israeli-Palestinian conflict, is likely to exert considerable influence on future discussions of conflict resolution, going beyond a merely symbolic gesture.

 

서방 주요국의 팔레스타인 국가 승인

 한새롬 (숙명여자대학교)

2025년 9월 21일, 영국·캐나다·호주·포르투갈이 팔레스타인 국가를 공식적으로 승인한다고 발표했다. 각국 정상들은 이번 결정을 ‘도덕적 책무이자 정치적 필요’라고 강조했다. 캐나다의 마크카니 총리는 팔레스타인의 “평화로운 미래”를 지원하겠다고 밝혔으며 영국의 키어 스타머 총리는 팔레스타인 국가 승인이 “두 국가 해법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결정”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발표는 9월 22일 유엔총회 고위급 정상회담을 하루 앞두고 이루어졌다. 프랑스와 사우디아라비아가 주도한 이번 회의는 가자지구 전쟁이 후 교착 상태에 빠진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 협상을 되살리려는 외교적 노력의 일환이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22일에 팔레스타인을 정식 승인하겠다고 발표했다.

전통적으로 이스라엘의 우방으로 여겨졌던 서방 국가들의 잇따른 팔레스타인 국가 승인에 대해 이스라엘은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는 영국의 결정을 “테러리즘에 대한 터무니없는 보상”이라고 비난하며 국제사회의 압박에 맞서 싸우겠다고 선언했다. 미국 또한 영국·호주·캐나다의 승인을 “보여주기식 행위”라고 평가절하했다.

현재 명확한 영토와 정상적인 기능을 하는 정부가 부재한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승인하는 것이 수사적 의미를 넘어서 현실적인 변화를 동반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방 주요국들, 특히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갈등의 원흉으로 인식되곤 하는 영국의 팔레스타인 지지는 상징적 제스처를 넘어 향후 분쟁 해결 논의에 적지 않은 파급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