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ulf States’ Position on Israel’s Airstrike in Qatar
So Yeon Ahn (SNUAC)
On September 9, Israel carried out an airstrike on a residence in Doha, the capital of Qatar, where members of Hamas’s leadership were based. At the time of the strike, the Hamas leaders were reportedly reviewing a U.S.-proposed mediation plan that included terms for a ceasefire and hostage exchange. The strike killed Hamas operatives as well as Qatari security personnel. The fact that Israel launched such an attack without warning in the very heart of Doha—a city that had served as the venue for negotiations between Hamas and Israel—sharply heightened Qatar’s and other Gulf states’ perception of a grave security threat.
In response, leaders of Arab and Islamic countries convened an emergency summit in Doha on the 15th, where they issued strong condemnations of Israel. Heads of state from sixty countries called for a reassessment of diplomatic and economic ties with Israel and even proposed suspending its UN membership. Meanwhile, the Gulf Cooperation Council (GCC) convened a defense ministers’ meeting and adopted a joint statement denouncing Israel’s strike on Qatar. The ministers also agreed to expand intelligence-sharing among member states and to establish a joint ballistic missile early-warning system.
Additionally, during the Pakistani prime minister’s visit to Saudi Arabia, the two countries signed a mutual defense treaty. Speculation has emerged that Pakistan’s nuclear arsenal could, in effect, provide Saudi Arabia with a nuclear umbrella.
Israel’s strike on Qatar has intensified doubts about the United States’ willingness—or ability—to guarantee Gulf security, accelerating the Gulf states’ search for new security partners. Reports that former U.S. President Donald Trump had been briefed in advance about Israel’s plans have further eroded Middle Eastern countries’ trust in the United States.
이스라엘의 카타르 공습에 따른 걸프 국가들의 입장
안소연 (아시아연구소)
지난 9월 9일 이스라엘은 카타르 수도 도하 내 하마스 지도부 거주 장소를 공습하였다. 공습 당시 하마스 지도부들은 미국이 제안한 휴전 및 인질 교환 내용 등이 포함된 중재안을 검토하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공습으로 하마스 요원과 카타르 보안 요원 등이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하마스와 이스라엘 간 협상을 중재하였던 카타르 수도 한복판에서 예고 없이 이스라엘의 공습이 발생했다는 점에서 카타르를 포함한 주변 걸프 국가들은 심각한 안보 위기를 인식하게 되었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 아랍, 이슬람권 국가 정상들은 15일 카타르 도하에서 개최된 긴급 정상회의에서 이스라엘에 대한 규탄의 목소리를 내었다. 60개국 정상들은 이스라엘과 외교 및 경제 관계를 재검토하고 유엔 회원 자격 정지를 주장하였다. 또한, 걸프 6개국이 모인 걸프협력회의 회원국들은 국방장관 회의를 개최하여 이스라엘의 카타르 공습 규탄 등을 중심으로 한 공동 성명을 채택하였다. 특히, 회원국 간 군사 정보 공유 확대, 공동 탄도미사일 조기 경보 체계 구축 등의 내용에 합의하였다. 또한, 파키스탄 총리의 사우디 방문 기간 동안 사우디와 파키스탄은 상호방위 조약 체결식을 진행하였으며 파키스탄이 보유한 핵무기가 사우디 핵우산으로 제공될 가능성도 제기되었다.
이번 이스라엘의 카타르 공습은 미국이 더 이상 걸프 국가들의 안보를 책임질 수 없다는 의구심을 증폭시키면서 걸프 국가들의 새로운 안보 파트너 모색도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이스라엘의 이번 공습과 관련하여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사전에 이스라엘로부터 사전 통보를 받았다는 보도도 전해지면서 중동 국가들의 미국에 대한 신뢰는 더욱 약화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