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welve Days of War Between Iran and Israel

Hwang Yuihyun (SNUAC)

In the early morning of June 13, 2025, the Israeli Air Force launched Operation Rising Lion, a surprise airstrike targeting Iran’s nuclear and military facilities across the country. More than a hundred sites were attacked, including key nuclear installations in Natanz, Fordow, and Isfahan, as well as air defense systems, missile bases, and major command centers of the Islamic Revolutionary Guard Corps (IRGC). Several high-ranking IRGC and military officials were reportedly killed. Simultaneously, Mossad led coordinated drone and cyber operations that effectively disabled Iran’s air defense systems and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That same evening, Iran swiftly retaliated with Operation True Promise, launching over 150 ballistic missiles and more than 100 drones toward Israeli territory. While Israel’s Iron Dome and layered air defense systems intercepted the majority of the projectiles, several missiles struck urban areas such as Tel Aviv and Haifa, leaving dozens injured. In the following days, both sides exchanged further missile attacks and carried out limited air raids, escalating the conflict.

As tensions mounted, the United States ordered the evacuation of its citizens from the region and began deploying stealth bombers and aerial refueling aircraft to bases near the Persian Gulf in preparation for possible intervention. On June 21, the U.S. initiated Operation Midnight Hammer, a full-scale military strike. Using GBU-57 “bunker-buster” bombs, American B-2 stealth bombers carried out precision strikes on Iran’s key nuclear facilities in Fordow, Natanz, and Isfahan. Following the operation, President Trump declared the mission a success, stating that “Fordow is gone” and signaling that “now is the time for peace,” suggesting a possible opening for post-strike negotiations.

However, assessments of the effectiveness of the U.S. airstrikes remain mixed. Some experts argue that Iran’s nuclear development was only delayed by a few months. In response, Iran suspended its cooperation with the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IAEA), rejecting further nuclear transparency.

The conflict drew to a temporary close on June 23 with a ceasefire brokered by the United States. Nevertheless, the risk of renewed military confrontation in the Middle East and the threat of nuclear proliferation continue to be major concerns for the international community.

이란과 이스라엘의 12일간의 전쟁

황의현 (아시아연구소)

2025년 6월 13일 새벽, 이스라엘 공군이 ‘일어나는 사자 작전(Operation Rising Lion)’을 개시해 이란 전역의 핵시설과 군사기지를 전격적으로 공습했다. 나탄즈, 포르도, 이스파한 등의 핵시설뿐만 아니라 방공기지, 미사일 기지,  주요 사령부까지 100개가 넘는 목표물이 공격받아 혁명수비대와 군부 고위 인사들이 사살당했으며, 동시에 모사드가 주도한 드론 및 사이버 작전으로 이란의 방공망과 통신 인프라가 무력화되었다.

이란은 같은 날 저녁 곧바로 보복에 나서 ‘진실된 약속(True Promise)’이라는 작전 하에 150여 발의 탄도미사일과 100대 이상의 드론을 이스라엘 본토로 발사했다. 이스라엘의 아이언돔과 다층 방공망이 대부분을 요격했지만, 텔아비브, 하이파 등 일부 도시에 미사일이 낙하하며 수십 명의 부상자가 발생했다. 이후 며칠간 양측은 추가적인 미사일 교환과 소규모 공습을 주고받으며 충돌을 이어갔다.

분쟁이 이어지는 가운데 미국은 자국민 철수를 명령하고, 페르시아만 인근 기지에 스텔스 폭격기와 공중급유기를 배치하는 등 개입 준비에 들어갔다. 6월 21일, 미국은 ‘심야의 망치 작전(Operation Midnight Hammer)’이라는 이름으로 본격적인 군사행동에 착수, GBU-57 “벙커버스터” 폭탄으로 포르도, 나탄즈, 이스파한의 핵심 핵 시설을 정밀 타격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공습 직후 “포르도는 사라졌다”며 작전의 성공을 선언했고, “이제는 평화의 시간”이라고 말해 군사적 압박 이후의 협상 가능성을 시사했다.

그러나 이 공습이 실제로 이란의 핵개발 능력을 얼마나 저지했는지는 평가가 엇갈린다. 일부 전문가들은 몇 개월 정도의 지연 효과에 그칠 것이라 분석했고, 이란은 국제원자력기구(IAEA)와의 협력을 중단함으로써 핵 투명성 감시를 거부하는 방향으로 반응했다. 분쟁은 6월 23일, 미국이 중재한 일시적 휴전이 성립되면서 일단락되었으나, 중동에서의 군사적 충돌 위험성과 핵확산에 대한 국제 사회의 우려는 계속될 전망이다.